고리타분한 개발자
HTTP 통신이란? 본문
HTTP
- HyperText Transfer Protocol
- 컴퓨터(클라이언트)와 컴퓨터(서버)간의 통신규약
- 웹브라우져(클라이언트)와 웹서버(서버)간의 통신규약
- 웹브라우져와 웹서버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사용하는 규약
- 클라이언트가 도메인 + 자원위치(URL) 또는 도메인 + 자원식별자(URI)를 통해 요청하면 서버는 해당하는 자료를 전달해줌
HTTP 정보확인
- 크롬 -> 검사 -> 네트워크
- Request Header (웹브라우져가 웹서버에 요청할 때 작성한 것)
- Response Header (웹서버가 작성해서 웹브라우져에 응답할 때 작성한 것)
Request Header
- 유저가 서버에 요청(request)한 정보가 담겨있음
- User-Agent: 웹브라우져, 어떤 웹브라우져인지에 대한 정보가 담겨져 있음, 정보에 따라 어떻게 응답할 지
- Accept-Language: 웹브라우져가 처리할 수 있는 언어
- Accept-Encoding: 웹브라우져와 웹서버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웹서버에서 데이터 응답을 받을 때 웹브라우져가 데이터를 받을 수 있는 인코더에 대한 내용(웹서버가 이것을 보고 응답)
Response Header
- 유저의 요청(request)에 대한 서버의 응답(response)정보가 담겨있음
- Content-type: 응답한 정보의 타입, Charset
Form Data
- 유저가 보낸 데이터가 표시되어짐
- key와 value가 모두 표시되기 때문에 중요한 데이터일 경우 HTTPS를 통해 감추어야 한다.
참고자료
- http://jinbroing.tistory.com/63?category=697142
- https://goo.gl/2mHJgG
'JavaScript > Basic Web Concept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세션 (0) | 2017.12.05 |
---|---|
쿠키 (0) | 2017.11.26 |
URL / URI / REST API (0) | 2017.11.26 |
Comments